빌립보서 1장 15절 해석이 빌립보서 전체 이해해 도움
빌립보서 1장 15절의 ‘투기와 분쟁으로 그리스도를 전파하는 자’의 실체를 규명하는 것은, 빌립보서 전체를 이해하는 것에 있어 일관성과 통합성을 부여한다. 이것은 바울이 본 서신을 쓴 목적과 핵심 주제, 또 서신이 쓰여질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배경 속에서 본서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서신은 편지글로써, 특수한 시간들과 장소들에서 특수한 상황을 겨냥한 인격적, 상황적인 문서 들일뿐만 아니라, 권위 있는 문서들이다.
즉 바울은 빌립보서를 통해 빌립보 교회가 마주치고 있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복음의 진리를 전하고자 하는 것이다. 많은 해석자들은 바울이 본서를 쓴 목적을 다양하게 설명하고 있으나, 일관성이 떨어짐으로 인해 빌립보서를 읽는 독자들이 본서 전체를 일관성과 통합성을 견지하며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독자 혹은 해석자들이 1장 15절의 ‘투기와 분쟁으로 그리스도를 전파하는 자’의 실체를 아는 것이 빌립보서 전체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어 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투기와 분쟁으로 그리스도를 전하는 자는 누구인가?
빌립보서 1장 15절의 ‘투기와 분쟁으로 그리스도를 전파하는 자’에 대한 해석은 전통적으로 크게 둘로 나뉘어져 있다. 첫째는, 이들이 그리스도인이지만 잘못된 동기나 이유를 가지고 복음을 바르게 이해하고 전파했다는 것이고, 둘째는 로마제국을 앞세워 바울을 핍박하려는 비신자 유대인으로 보는 시각이다. 전통적으로 개혁주의나 경건주의 교회들과 학자들 사이에서는 전자의 시각으로 그들을 이해하였다.
그러나 만약 15절의 ‘투기와 분쟁으로 그리스도를 전파하는 자’들이 그리스도인이라고 가정한다면, 독자들은 몇 가지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다. 먼저는 14절에서 ‘형제 중 다수가’ ‘ 주 안에서 신뢰’ 하는 모습이었다고 말한다. 그래서 또한 ‘ 하나님의 말씀을 더욱 담대히’ 말하고 있다고 증언한다. 그러나 우리는 어떻게 바울이 복음에 대한 배신으로 간주하는 어떤 것(즉, 옛 언약으로의 회귀)을 전파하는 일을 기뻐할 수 있을지 이해하기 어렵다.
두 번째로 바울이 사용한 ‘투기’ 와 ‘분쟁’ 이란 단어는 바울서신에서 부정적인 용례로 사용된다.
세 번째로 ‘투기와 분쟁으로’ 행동하는 그들의 모습이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투기와 분쟁으로’ 인해 바울을 죽음으로 내몰려고 하는 사람들을 그리스도인이라고 보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15절의 이 ‘어떤 이들’의 실체가 그리스도인이 아니라, 로마제국을 앞세워 바울을 핍박하려는 비신자 유대인들 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빌립보 교회를 향한 바울의 메시지의 핵심은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라.’(1:27 a)는 것이다. 그리고 이 메시지는 바울과 빌립보 교회가 공통적으로 당면한 그 시대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의미가 살아난다. 그 동일한 상황에서 바울은 자신과 주변의 형제들이 어떻게 이 상황을 대처하고 있는지를 1:14-17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장 14절에서 바울은 자신이 갇혔지만 그 일로 인해 오히려 여러 형제들이 함께 연합되었다는 점을 부각한다. 또한 이런 연합 속에서 대적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않았음을 분명히 밝힌다. 바울은 빌립보교회가 연합해야 할 뿐 만 아니라, 대적 하는 자들조차 두려워해서는 안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1장 15절에 나타난 ‘어떤 이들’을 ‘그리스도인’ 이 아닌 ‘믿지 않는 유대인’으로 보게 한다.
빌립보서 전체를 일관성 있게 이해하고자 할 때의 또 하나의 어려움은 3장의 표현과 내용이 서신의 나머지 부분과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대적자 그룹을 유대인으로 본다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바울은 이미 1장 12-26에서 유대인으로부터 오는 핍박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자신이 대적자 유대인들과 부딪히고 있음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어서 빌립보교회도 대적자인 유대인들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1장 27-30에서 권면한다.
투기와 분쟁으로 그리스도를 전파하는 자들은 비신자 유대인들
빌립보서 1장 15절의 ‘투기와 분쟁으로’ 그리스도를 전파하는 자들이 비신자 유대인들이었으므로 이해하는 것은, 독자들이 빌립보서 전체를 일관성 있게,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바울이 그 자신이 전했던 다른 말씀들과의 충돌 없이, 또한 빌립보서 전체 안에서도 상충됨이 없이, 바울의 메시지를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바울이 빌립보서를 쓴 목적과 주제를 선명하게 드러내어 주는 것이다.
1세기 유대주의자들의 핍박과 고난의 역사적 상황 가운데, 빌립보서 말씀을 이해할 때에, 그들을 핍박하던 세력의 실체를 정확히 이해함 가운데, 독자들은 바울이 전한 빌립보서를 일관성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말씀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편 96편 주해 (0) | 2021.04.04 |
---|---|
빌레몬서 수신자 찾기 (0) | 2021.04.04 |
루돌프 오토 <성스러움의 의미> (0) | 2021.03.15 |
레위기23-24장 절기와 성소의 기물들 (0) | 2021.03.15 |
레위기21-22장 제사장과 제물의 자격 (0) | 2021.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