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씀묵상

레위기 12-13장 출산과 나병 규례

by 독거할매 2021. 3. 14.

거룩: 성소에서 만나는 거룩하신 하나님(김덕중 저)

출산과 나병 규례 

레위기 12장은 출산으로 인한 부정의 문제를 다루고 있고, 13장은 사람과 의복에 발한 짜라아트 규정을 다룬다.

12장의 구조 분석과 내용

1.1. 서론(12:1)
1.2. 산모가 아이를 낳을 때 부정케 되는 날 수(12:2-5)
1.2.1. 남자아이를 낳았을 경우(2-4절)
1.2.1.1. 부정의 기간(2절) 월경할 때와 같이 7일간 부정케 된다.
1.2.1.2. 할례에 대한 지침(3절) 제8일에 아이에게 할례를 행해야 한다.
1.2.1.3. 정결을 위한 추가적인 격리 기간(4절) 아이의 할례를 행한 이후 33일 동안 성소에 출입이 금지된다.
1.2.2. 여자 아이를 낳았을 경우(5절)
1.2.2.1. 부정의 기간(5a) 14일간 부정하게 된다.
1.2.2.2. 격리 기간(5b) 아이를 출산한 날로부터 80일이 지나야 산모는 성소에 갈 수 있다.
1.3. 산혈이 정결케 된 후 드리는 제사(12:6-7)
1.3.1. 제물에 대한 규례(6절) 번제로 1년 된 어린양 한 마리, 속죄 제로 집비둘기 새끼나 산비둘기.
1.3.2. 희생 제사(7절) 제사장이 산모를 위하여 속죄제를 드림으로 산모가 의식적으로 정결케 된다.
1.4. 가난한 여인이 드리는 제사(12:8)산비둘기 두 마리나 집비둘기 새끼 두 마리를 가져다가 하나는 번제물로, 또 하나는 속죄 제물로 드리면 된다. 효력에서는 양의 경우와 차이가 없다.

13장의 구조 분석과 내용

2.1. 도입 형식 문(1절)
2.2. 짜라아트 규정(2-59절)
2.2.1. 피부에 새긴 환처(2-8절) 제사장이 피부의 증상을 관찰하고, 환처의 부위가 커져 나가는지의 여부에 따라 부정하다고 선언하거나(3절), 일주일 동안 금고한다(4절).
2.2.2. 피부 궤양(9-17절) 생살이 돋는 경우는 피부의 오랜 나병으로 부정한 것으로 판정된다(11절). 짜라아트 증상이 온몸 존체에 퍼졌으면 정하다고 했는데 그것은 전염성이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2.2.3. 치료된 부위의 변화(18-23절) 구약의 용례를 보면, 대개 하나님께서 보내신 질병으로 소개된다.
2.2.4. 감염된 화상(24-28절) 판정 기준은 변형(25절)과 퍼짐(27절)이다.
2.2.5. 수염이나 머리카락에 발한 환처(29-37절) 피부 표면이 비늘같이 생기는 증상을 가리킨다. 증상이 뚜렷하지 않으면 일주일간 격리시켜야 하며(31절), 일주일째 되는 날에 털을 밀고 다시 퍼지는 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34절). 14일째 되는 날에 더 이상 퍼지지 않았으면 제사장은 그 사람을 정하다고 선언한다(34절).
2.2.6. 몸 전체에 퍼진 흰 색점(38-39절) 피부에 색점이 있는 경우 그 색점이 부유스름하면, 이는 단순한 피부병으로 정한다.
2.2.7. 대머리(40-44절) 대머리에 붉고 흰 얼룩이 생기면 악성 피부병으로 부정하다.
2.2.8. 의복에 생기는 짜라아트(47-59) 일종의 곰팡이와 같은 것으로, 사람에게 발한 경우와 동일하게 환처의 변형이나 번지는 증산이 판단의 기준이 된다(49,51절).

 

 

 

신학적 메시지 및 적용


12,13장도 전 장들과 마찬가지로 계속해서 이스라엘 백성이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 나아가기 위해서는 정결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여러 복잡한 제사 제도의 형식과 절차 속에 숨어있는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 하신 성품을 찾아볼 수 있었듯이 본 장들에서도, 동일하게 신생아와 산모를 보호하고 배려하시는 하나님의 따듯하신 성품, 인간들을 향한 섬세하신 배려를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짜라아트 환자를 격리시키는 것은 그 환자를 고독하게 만드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것 또한 사람들의 시선과 편견으로부터 보호하는 차원일 수 있고, 더 나아가 공동체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 선택되어야 만 했을 방안이었을 것이다.
우리는 언약 공동체 안에서 여러 가지 규칙들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그 규칙 자체만을 지키기 위한 죽어있는 규칙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 규칙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 각 사람들을 배려하고 보호하려는 의도와 목적이 살아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