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룩: 성소에서 만나는 거룩하신 하나님(김덕중 저)
나병 환자의 정결의식과 유출병 규례
레위기 14장은 짜라아트로부터 고침 받은 사람의 정결의식을 다루는 내용(1-32절)과 가옥에 발한 짜라아트 처리 규정(33-53절)이다. 15장은 남녀의 성기에서 분비된 액체로 말미암아 생기는 부정의 문제를 다룬다.
14장의 구조 분석과 내용
정결케 하기 위한 규례 (14:1-32)
첫 번째 주에 행하는 의식(2-9절) 진 밖에서의 정결케 되기 위한 의식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 의식이 진 밖에서 거행 되는 이유는 짜라아트가 죽음의 증상이기 때문이다. 4절은 짜라아트로부터 나은 사람이 준비해야 할 목록을 제시하며, 5-7절은 ‘새 의식’을 소개한다. 8b-9절은 진 안에서 의식을 소개한다.
두 번째 주에 행하는 의식(10-20절) 이 의식은 회막에서의 의식으로써, 10절은 의식을 위한 준비물을 제시하며 14절은 짜라아트로부터 고침을 받은 사람의 피 바름 의식을 다룬다. 17절은 기름 바름 의식을 다룬다. 8일째 되는 날에 피와 기름을 바름으로 정결의식을 마감하는 의미를 지니고, 이 사람은 비로소 성소에 가까이 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가난한 사람의 정결의식(14:21-32) 가난한 사람을 배려한 규정으로써, 비둘기로 제물을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속죄제나 번제와 달리 속건제는 대체물이 허용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속건제가 보상의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가옥에 발한 짜라아트 처리 규정(14:33-53)
첫 번째 치료(33-42) 36절에서 제사장은 짜라 아트가 의심 가는 집을 살피기 전에 그 집을 비우도록 먼저 지시하는데, 그 이유는 만약 제사장이 부정하다고 선언할 경우 그 집안에 있는 모든 것이 부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37-42절은 가옥에 발한 짜라아트 진단과 그 대처 방법에 대한 규정으로, 6단계 절차를 통해 이루어진다.
두 번째 치료(43-47절) 두 번째 가옥에 발한 짜라아트 진단과 처방을 제시한다.
고침 받은 후의 의식(48-53절) 첫 번째 처방 이후 고침을 받은 후의 의식이다. 49절은 의식을 거행하기 위한 준비물을 제시하고, 나머지 의식(50-53절)도 사람의 경우와 유사하나, ‘초벌 정결의식’만 나오고 전신을 정결케 하는 의식인 ‘기름 바르는 의식’은 빠져 있다는 점이 다르다.
15장의 구조 분석과 내용
머리말(15:1)
말씀 보도(15:2-31)
남자의 유출에 따른 부정(15:2-17)
비정상적인 경우(2-15절) 5-11절은 유출병 환자와 접촉했을 경우 문제를 다룬다. 유출병 환자의 정결의식은 세 단계로 진행된다.
정상적인 경우(16-17절) 남성의 정액은 생명의 씨앗으로, 정액을 방출하는 것은 생명력의 약화를 의미한다. 레위기는 생명(거룩)과 반대되는 개념이나 현상을 부정으로 정의한다.
남녀의 성교로 의한 부정(15:18) 남녀가 성적인 관계를 가진 경우에는 두 사람 모두 물로 몸을 씻어야 하고 저녁까지 부정하게 된다.
여성의 유출에 따른 부정(15:19-30)
정상적인 경우(19-24절) 생리 중인 여인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정의 문제를 다룬다. 생리 중인 여인과 동침하는 것을 엄격하게 금지한다.
비정상적인 경우(25-30절) 불결기(생리 기간)는 눕는 침상이나 앉는 자리도 부정하게 되고, 이를 만지게 되면 옷을 빨고 몸을 씻고 저녁까지 부정하게 된다. 비정상적인 경우 일주일을 두고 지켜보고(28절) 일주일이 경과해도 아무 이상이 없는 경우 속죄제와 번제를 드려야 한다(29-30절)
요약적인 진술(15:32-33) 31절은 유출병 규례를 허락하신 이유를 설명하고 있고, 32-33절은 15장 전체의 요약문이다. 32절은 이 규례가 제사장적 교훈의 자료(토라) 임을 알린다.
신학적 메시지 및 적용
짜라아트 환자는 진 밖에 나가서 살기에 하나님과의 관계 단절을 경험해야 한다. 이것은 공동체로부터의 분리이며, 고독이다. 이것은 죄로 인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는 인간의 모습과 비슷하다. 하나님을 떠난 인간은 철저하게 고독하며 죽음의 상태와 같다.
그러나 짜라아트에서 나은 자가 있으면 제사장이 진 밖으로 나가 도로 데려오듯이, 사망의 자리를 떠나 생명의 자리로 다시 돌아오는 사람을 맞이하시는 분이 계신다. 제사장은 단순하게 병에서 고침 받은 자를 맞이하러 나가는 것이지만, 예수님은 병든 자를 찾으시고, 고치시고, 구원해주신다. 인간을 인간답게 하고, 회복시키시고 온전케 하시는 분이 예수님이시다.
'말씀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17-18장 피 금지 규례와 성도덕 규정 (0) | 2021.03.14 |
---|---|
레위기16장 성막의 부정에서의 정결 (0) | 2021.03.14 |
레위기 12-13장 출산과 나병 규례 (0) | 2021.03.14 |
레위기11장 음식법 규정 (0) | 2021.03.14 |
레위기9-10장 첫 번째 제사와 제사장의 사명 (0) | 2021.03.14 |
댓글